과학 교실 태양계 / 별과 우주 초등학교 과학 독서로 정복하다!! 연선생의 시끌시끌

초등학교 지구과학 독서로 정복한다!
!
연선생님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태양계/별과우주

이번 주에는 초등학교 과학 영역에서도 지구과학에 해당하는 책을 골라서 읽어봤어요 연 선생님의 술렁술렁 과학교실에는 초등학교 과학부터 물리 화학 생물과 함께 지구과학이 포함돼 있는데 릴리는 이번에 태양계 책과 별과 우주 책을 골랐습니다.

^^

왜 이 두 권을 뽑았냐고 물어봤더니 둘 다 끝을 찾는 얘기라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무슨 말인가 하고 봤는데 태양계의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 그리고 거대한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하는 두 표지의 질문을 보고 고른 것 같아요.릴리가 고른 두 권의 책을 오늘도 함께 봅시다.

연선생의 시끌벅적한 과학교실 11. 태양계 태양계의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

태양계의 중심에서 스스로 빛을 내는 별금성 지구에 가장 가까운 행성으로, 매우 밝게 보이는 화성 표면이 붉은 행성으로 제2의 지구가 될 가능성이 높은 목성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희미한 고리가 있다.

토성 태양계에서 두 번째로 큰 행성으로 선명한 고리가 있다.

소행성 불규칙한 모양의 천체로 금속 또는 바위로 이루어진다.

1교시 태양란은?태양계는 어떤 모습일까?

태양과 태양의 영향을 받는 천체, 그리고 이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태양계라고 합니다.

태양의 중력을 기준으로 하면 태양계의 가장자리는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로 5만 배 밖에 있으며, 작은 천체들이 공의 껍질 모양으로 모여 있는 귀리 구름을 중심으로 봅니다.

태양풍을 기준으로 하면 태양계의 가장자리는 태양풍이 멈추는 곳까지를 말합니다.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에 100배 밖에 있어요.

태양계는 태양계의 중심에 있으며 태양계에 다른 천체에 비해 매우 큰 태양이 있습니다.

그리고 태양 주위를 도는 천체로 둥글고 크기가 크며 수성, 금성, 지구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혜왕성을 일컫는 행성이 있습니다.

또한 이 행성 주위를 도는 천체인 다르이오타이탄 등의 위성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그 밖에 왜 소행성, 소행성, 그리고 혜성 등의 작은 전체도 있습니다.

2교시 태양이 아침저녁으로 미치는 영향은?

태양은 주로 수소와 헬륨으로 내부가 이뤄져 있어 핵에서 태양 에너지를 만들어 낸다.

방사침과 대류층을 통해 밖으로 전달됩니다.

태양의 표면은 광고라고 하는데, 싼 문의에 쌀알 모양으로 이 개수와 크기가 계속 변화하는 흑점도 존재합니다.

태양의 자전으로 태양의 표면을 따라 계속 움직인대요.

태양의 대기는 광구 바로 바깥에 있는, 불그레한 대기의 채층과 채층 위에 있어, 청백색을 띠며 태양의 바람이 부는 코로나층이 있습니다.

3교시 수성과 금성태양과 가장 가까운 행성은?

금성은 새벽이나 초저녁에 볼 수 있는 행성으로 지구보다 안쪽에서 태양주의를 공전합니다.

지구에서 해와 달 다음으로 밝게 보이는 것은 달 다음으로 지구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두꺼운 구름이 햇빛을 반사해서 밝게 보인대요대기는 짙은 이산화탄소로 되어 있어 온실효과가 심하고 온도가 높습니다.

지형은 지구보다 평평하다고 합니다.

수성은 새벽이나 초저녁에나 볼 수 있고, 금 성분의 흙을 만드는 것은 좀 더 어렵습니다.

대기가 없기 때문에 낮과 밤의 온도가 매우 다르고, 표면에는 충돌 구멍이 많습니다.

4교시 화성 제2의 지구는 어디일까

화성과 지구가 비슷한 점은 여러 가지가 있어요. 딱딱한 지면이 있고 낮에는 표면 온도가 20도 정도로 유지되며, 하루 길이가 24시간 정도로 계절이 바뀝니다.

화성의 표면은 산화철로 덮여있으며 붉은색을 띠고 물이 흐른 흔적이 있다고 해요.화성에서 물과 공기는 매우 희박하고, 공기의 대부분은 비정상적인 화탄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극지방에 물과 이산화탄소가 얼어 있는 콴이 있습니다.

화성은 지구에서 바깥쪽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합니다.

화성의 위치에 따라 지구에서는 새벽이나 밤 또는 한밤중에 관측할 수 있습니다.

5교시 목성과 토성의 고리가 있는 행성은?

태양계 최대의 행성인 목성은 수소와 헬륨 등의 기체로 구성되어 가는 고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1979년에 보이저호가 발견했는데, 대부분 작은 바위 부스러기로 되어 있다고 합니다.

적도와 나란히 있는 줄무늬인데, 이는 매우 빠르게 자전하기 때문에 그렇게 보인다고 합니다.

대기로부터 불어오는 거대한 소용돌이인 제 적반은 지구의 약 1.5배 크기라고 하니 목성은 정말 큰 행성 같습니다.

태양계에서 두 번째로 큰 행성인 토성은 수소와 헬륨 등의 기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얼음 알갱이와 바위 부스러기 등으로 이루어진 넓은 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가벼운 수소가 자전에 의해 바깥쪽으로 조금씩 밀려나가 양쪽으로 가늘고 긴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태양계에 대해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해봤는데 명왕성이 처음에는 태양계의 횡성으로 분류되다가 최근 그 기준이 생겨서 따로 떨어졌다는 설명을 보면 조금 아쉬웠습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과학에서는 기준이 명확해야 하고 그 기준에 예외를 두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앞으로 아이들이 배우게 될 새로운 과학 이야기도 이렇게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한 내용을 함께 나눌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연 선생님의 시끌벅적한 과학교실 19. 별과 우주 거대한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북두칠성 국자 모양의 별자리로, 큰곰자리의 일부, 북극성 지구의 북극 위에 떠 있는 별 태양 태양계에서 유일한 별로서 스스로 빛을 내 수소성에 많은 물질로 별이 빛을 내는데 사용되는 ‘우리 은하’, ‘우리 태양계’가 속한 은하에 막대, 나선 은하 관측 가능한 우주 우리에게 도달한 빛으로 파악한 우주

1교시 별자리 밤하늘길 실버는 누구?

지구에서 보이는 별 몇 개를 묶어서 여러 동물이나 사람의 물건에 이름을 붙인 것을 별자리라고 합니다.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 별자리 808개를 정해 지구에서 별자리를 이루는 별까지의 실제 거리는 각각 다릅니다.

그렇다면 이 별자리는 어디에 쓰이는 걸까요?별자리는 동서남북 방향을 찾을 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북두칠성이 있는 곳이 북쪽이거든요천체의 위치를 찾거나 나타낼 때에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북두칠성이나 카시오페아자리를 이용해 북극성의 위치를 찾고, 별자리를 이용해 유성우의 위치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존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바뀝니다.

지구 북극위에 떠있는 북극성과 그 주변에 위치한 큰곰자리, 그리고 작은곰자리, 카시오페아자리 등은 일년 내내 볼 수 있습니다.

2교시 별별은 영원히 똑같나?

스스로 빛을 낼 수 있으며, 둥근 모양의 전체를 별이라고 합니다.

중심부에서 수소가 몇 개 합쳐져서 헬륨으로 바뀌어 빚을 낼 수 있게 됩니다.

항성이라고도 합니다.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별의 일생을 보면 성간 물질이 뭉쳐서 둥근 모양이 되고, 수소가 합쳐져서 빚을 지는 별이 됩니다.

수소가 모두 바닥나면 헬륨이 합쳐져 크기가 커지고, 헬륨이 바닥나면 중심 부분은 작은 천체로 남고, 바깥쪽은 다시 성간 물질이 됩니다.

별의 질량에 따라 일생은 다를 수 있지만 태양보다 질량이 훨씬 큰 별은 블랙홀이 되기도 합니다.

3교시 별의 거리별까지의 거리를 재는 사람이 있을까?

관측하는 사람이 움직일 때 관측된 두 위치와 물체가 이루는 각도를 시찰하며, 각도를 시차라고 합니다.

시차와 거리의 관계를 보면 물체가 가까이 있으면 시차가 크고, 물체가 멀리 있으면 시차가 작아집니다.

천체간의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에 미터나 킬로미터보다 훨씬 큰 단위를 사용하여 우주상의 거리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를 1로 한 거리 단위가 바로 AU이지만 주로 태양계에서 사용하며, 1에 AU는 약 1억 5000만 킬로미터 정도 된다고 합니다.

시차를 이용하여 잰 별까지의 거리를 쉽게 나타내기 위해 만든 거리 단위로 퍼섹을 사용합니다.

1퍼섹은 약 20만AU이니까 약 3.26광년이 됩니다.

(빛이 1년간 진행된 거리를 일로 잡은 거리의 단위가 광년입니다.

)

4교시 빛의 밝기별 밝기를 정확하게 나타내려면?

별의 밝기란 별이 내뿜는 빛의 양과 지구에서 별까지의 거리의 영향을 받아 거리에 따른 별의 밝기 변화를 보면 별이 멀리 있을수록 밝기는 빨리 줄고, 거리가 2배가 되면 밝기는 4분의 1로 줄고, 거리가 3배가 되면 밝기는 9분의 1로 줄어듭니다.

별의 밝기를 숫자로 표현한 것을 별 등급이라고 합니다.

등급을 나타내는 숫자는 밝은 별일수록 작아지고 어두운 별일수록 커집니다.

일등성은 육등성보다 100백배 정도 밝아요.

맨눈이나 망원경등으로 보았을 때의 등급은, 실제의 밝기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외견 등급이라고 표현해, 별을 모두 지구로부터 10%의 거리에 있다고 생각했을 때의 등급이 절대 등급으로, 별의 실제의 밝기를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이 됩니다.

5교시 은하는 은하수의 정체는?

수많은 천체들이 한곳에 모여있는 것을 은하라고 합니다.

태양계가 속한 은하를 은하라고 합니다.

옆에서 보면 중심부가 통통한 원반모양이고 위에서 보면 장대 모양의 중심부를 나선팔이 감고 있는 것 같습니다.

성단, 성간 물질, 성운 등으로 구성되어 지구에서 은하의 일부가 보이는 것을 은하수라고 합니다.

별이 모여 있는 집단을 성단이라고 합니다.

은하 중심쪽에 별이 공 모양으로 모여 있는 것으로, 주로 만들어져 온도가 낮은 별을 말하는 구성성단이 있고, 은하의 나선팔 부분에 별이 반짝이는 것으로, 주로 생긴 지 얼마 되지 않아 온도가 높은 별을 산개성단이라고 합니다.

사실 아직 우주에 관한 디테일한 개념과 정보가 있는 책을 많이 본 적이 없어요. 그래서 이번에 릴리가 영 선생님의 떠들썩한 과학교실에 우주 관련 책을 고를 때 조금 걱정이 되기도 했습니다.

이해되지않는내용들이너무많으면그책에대한호감도나흥미도가떨어지지않을까생각하는데4컷만화그리고핵심정리부분과개념노트부분을잘이용해서독서를하다보면모르는내용들이많았지만그래도그중에재미있다는것을많이느끼면서책을읽었습니다.

^^

연선생의 시끌시끌한 과학교실

#연선생님 #연선생님과학교실 #초등과학실 #학습만화 #사회평론 #초등전집 #10세전집 #초등고학년과학 #초등학생추천도서 #초등과학전집 #과학학습만화 #과학지식책 #어린이필독서 #교과연계 #통합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