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뭘 할까 하고 계셨던 개그맨들은

©Engin_Akyurt, 출처 Pixabay 알고리즘이 안내하면서 개그맨들의 유튜브 동영상을 자주 보게 되는 요즘이다.

메인 콘텐츠는 몰래카메라 함께 아이디어 회의를 하고, 시바이를 짜고 있던 동료들을 상대로 몰래카메라를 만들어 고른다.

몇몇은 미리 말이 된 듯 어색한 연기가 보이지만 어쩌면 저렇게 기발한 생각을 하는지 감탄하며 지켜보는 중이다.

캐릭터를 생성한 뒤 상황극을 펼치는 콘텐츠도 있다.

현직 개그맨 김혜준을 일약 스타로 만든 휘식대의 최준 캐릭터가 대표적. 그래서 광고를 60개 가까이 찍었다니 이제 미디어의 염분은 올드미디어인 TV나 신문이 아니라 유튜브임이 분명하다.

먼저 폐지된 하땅사 개그야 코미디에 빠지다(MBC)부터 나중에 폐지된 웃찾사(SBS)와 영원할 줄 알았던 개그콘서트(KBS)까지 한 해 10여 명이 넘는 공채 개그맨 기수가 들어오는 과거였기에 공개 코미디 프로그램이 모두 폐지된 이 상황에서 이들이 활동하는 방송과 무대는 드물다.

역시 알고리즘의 재능으로 올라오는 과거 공개 코미디 프로그램의 코너는 지금 봐도 재미있다.

그때는 왜 외면당했거나 일찌감치 당했는가 하는 생각을 갖게 한다.

하긴 하루 종일 아이디어 회의 끝에 올린 코너니까 코미디 작가와 머리를 맞대고 있는 것, 없는 것을 다 쥐어짜낸 결과일 것이다.

무대와 객석을 잃은 이들이 찾은 곳은 아프리카TV와 유튜브, 게임을 좋아하는 몇몇은 트위치도 한다고 들었다.

그곳에서 게임을 하면서 채팅을 함께하며 에피소드를 이야기하는 등 자신의 재능을 발휘하고 있다.

그럴 여유(편집 및 촬영 일정)조차 없는 이들은 배달대행 아르바이트나 택배 상하차 같은 것을 전전하며 언젠가 다시 돌아가는 무대를 꿈꾼다.

유튜브를 하는 개그맨들은 몰래카메라라는 아이디어를 변주로 변주를 거듭하고 가족도 등장시켜 다양한 상황 설정을 새롭게 도모한다.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에서는 때로 방송국 전속의 에피소드를 들려준다.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지만(사실 방송국 공채 개그맨 시스템도 사라진 느낌이야)개들의 기수 간 서열이 매서울 정도로 강해 기합은 물론 어떤 해는 군기반장이 후배들을 엎드려 줄타기를 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한때 이 에피소드가 유행처럼 돌면서 각 방송사 간의 군기문화를 해설(!
)하는 개그맨들의 콘텐츠가 달아올랐다.

이럴 필요는 없지만 이들의 고군분투를 지켜보면 쓸쓸해진다.

TV 속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참신하고 기발한 아이디어로 홈극장을 웃음바다로 만들어야 하는 이들의 호흡과 연기가 그리워진다.

물론 공개 코미디가 퇴장할 무렵의 코너는 남녀노소 모두에게 외면당하는 상황이었다.

MBC 공개 코미디 프로그램 개그♥도 그런대로 괜찮았다.

지상파 1위라는 최초의 제약에 개그를 개그로 받아들이지 않는 사회적 PC(정치적 올바른) 경향까지 개그맨들이 아이디어를 움직일 공간이 넓지 않았다.

노인들은 도대체 무슨 소리냐고 외면했고, 젊은이들은 구리다, 누가 요즘 저런 일에 웃느냐며 이들의 곁을 떠났다.

몇 년 전만 해도 휴일 밤이 끝났음을 알리는 신호이자 월요일 일상이 적응하는 점심시간을 달구는 소재를 제공하는 창구였던 것이다.

그 만화를 방창하던 웃음의 밭을 말라죽게 하고, 뒤엎어서 다음 경작도 못하게 만든 존재는 누구일까. 역시 이 소재가 한창 이야기되던 시절이 있었다.

개그콘서트 끝났을 때였다 선배 개그맨 중 한 명이 유튜브 채널로 개콘 스튜디오를 찾아가 여러 가지 질문을 던지며 종영 경고 신호를 울렸지만 귀를 기울여야 했던 제작진은 무심코 지나쳐 버렸다.

대표적인 공개 코미디 프로그램이었던 개콘이 제작되는 방식을 물은 적이 있다.

개그맨들이 서로 팀을 이뤄 아이디어 회의를 하고 나온 대본에서 연기를 맞춘다.

간단한 소품을 들고 직원들 앞으로 나아간다.

난 이 구절이 마음에 안 들어. PD와 CP(책임 프로듀서)가 앞에 있는 자리에서 마치 오디션을 보듯 준비해 간 코너를 선보인다.

제작진은 논란 끝에 코너 통과 여부를 논의한다.

통과한 개그맨들은 뛸 듯이 기뻐하고 떨어진 개그맨들은 낙담한다.

납득할 수 있나.개그맨들의 대본과 상황극을 PD라는 심판관이 판단한다는 게.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일반 상식과 논술, 글쓰기 시험을 거쳐 간단한 기획안을 작성하는 테스트를 거쳐 면접을 본 뒤 합격한 예능 PD라는 직업. 각종 예능프로그램에서 조수 혹은 하인에 가까운 4, 5년의 조연출 기간을 거쳐 웃음을 터트린 뒤 자신이 기획하거나 기존 프로그램의 연출인 입봉기를 거쳐 베테랑 예능 PD라는 평가를 받을 때쯤 개콘 연출을 담당한다.

이들이 그 기간을 거쳐 다른 시간에 마주하는 콘텐츠의 영향으로 형성된 웃음의 기준이 개콘 코너 통과의 척도가 되는데, 이런 주관적이고 자의적인 심사가 수십 년 이어져 왔다는 게 정말.

KBS 개그콘서트 마지막 회 몇몇 개그맨들에 따르면 PD들이 연 코너 중 자기들끼리 정말 재미있다고 판단하는 코너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물론 심의 문제, 수위 문제가 됐을 수 있지만 담당 PD의 주관과 가치관이 작용해 물을 마신 코너도 적지 않을 것이다.

담당 PD의 비뚤어진 정치관과 사회관으로 개콘이 미끄러지기 시작할 무렵, 누구누구 PD가 눌렀다는 용감한 놈들의 코너와 과체중으로 유명한 아무개 개그맨이 인기를 끌 때였다.

이해할 수 없고 납득할 수 없는 기준과 설정으로 개그 코너에 정치를 묻어버리는 경향이 그의 치하에서 수년간 계속된다.

수많은 시청자가 항의해 수신료의 가치 운운했지만 그의 성곽은 꿈쩍도 하지 않았다.

똑같은 풍자를 정권이 바꾸면서 던지지 못한 이들의 비겁함도 여전하다.

그 후, 어중간한 정치 풍자와 삐걱거리는 PC화가 깊어진다.

재미와 의미를 동시에 잡아야 하는 코미디가 어느 순간부터 지나친 의미 부여와 PD 눈치만 보다가 몰락하고 있었다.

이를 바로잡을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던가.

개그 콘서트가 전성기일 때는 코너의 메인이 개그맨이라고 들었다.

PD들은 대부분 개그맨들에게 전권을 주었다고 한다.

태동기와 약간의 불안기를 거쳐 갈가리패밀리가 양대 중흥을 이끌었을 때라고 한다.

담당 PD의 섣부른 판단과 천박한 정치관이 개그에 씌워지면서 많은 개그맨들이 떠나고, 각자의 유튜브에서 누군가를 속여 웃음을 자아내고 있다.

위에 쓴 그 PD가 누군지, 그 개그맨이 누군지 아는 사람이 알 것이다.

채널마다 돌아다니며 사과해도 모자랄 판이다.

개그콘서트 몰락의 단초가 됐다는 유모 방송인, 서모 PD

내 말이 100% 안 맞아도 일말의 진실은 있다고 생각해. 한때 웃음을 주는 사람을 꿈꿀 정도로 코미디를 사랑했던 사람이 이 글을 쓴다.

만약 유튜브 채널에서 개그맨 채널을 발견한다면 구독과 채널 설정까지 눌러줄 것을 간곡히 부탁한다.

KBS 공채 31기 박진호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요계인’

참고로 내가 즐겨보는 개그맨 채널은 휘식대, 드립팩토리, 양대 산맥, 요계인(편집이 어마어마함), 바그냥 등이 있다.

개그맨 박소라가 운영하는 솔라파크 이현정이 운영하는 브이로그 전문 채널 이현정은 응원하는 채널이다.

나는 두 사람이 시간만 잘 어울렸다면 장도영 신봉선 이상의 희극인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고 본다.

덧붙여 아는 희극의 1~2명만 있으면 좋겠다.

이야기를 듣고 애환이나 보람 등을 전하면 어떨까. 그러잖아도 몇 시간 수다 떨다가 껄껄거려도 되겠지. 연락바랍니다。

#공개코미디 #코미디 #코미디 #콘서트 #코미디 #웃찾사 #코미디언 유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