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 14.5 & watchOS 7.4 – 애플워치를 이용해 마스크를 쓰고 아이폰 페이스 ID 잠금을 해제한다! 안드로이드 스마트 록과의 차이점은?

얼마 전 iOS와 워치OS의 새로운 베타 펌웨어, iOS 14.5와 워치OS 7.4 퍼블릭 베타가 공개됐습니다.

여러 가지 변화점이 있지만 가장 눈길을 끄는 기능은 애플워치 사용 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페이스ID 잠금 해제가 가능해진 부분이 아닐까 싶은데, 오늘은 이 기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와 비슷한 안드로이드의 자동 잠금 해제 기능인 스마트 잠금(Smart Lock)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한 번 살펴보려 합니다.

이번 기능을 사용하려면 아이폰과 애플워치 모두 최신 베타 펌웨어인 iOS 14.5와 워치OS 7.4 버전이 설치돼야 합니다.

혹시 베타 펌웨어를 설치해보고 싶은 분이 계시면 ‘간단팁스’ 게시판의 ‘베타 설치 방법 알아보기’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iOS베타는 물론 워치OS베타 설치방법까지 다 올라와있습니다 :)자, 이제 기능을 켜봅시다.

기본적으로 이 기능은 꺼진 상태입니다.

설정 – ‘Face ID 및 암호’에 들어가셔서 UNLOCK WITH APPLE WATCH 항목의 Apple Watch 옵션을 열어주세요. 아직 베타라서 번역이 안되었네요.이번 마스크 페이스 ID 잠금 해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1) 애플워치에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어야 하고, 2) 애플워치가 사용자의 손목에 있고, 3) 아이폰 근처에 있어야 하며, 4) 애플워치의 잠금이 해제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 네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이번 기능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 두 번째 조건을 위해서는 애플워치의 ‘손목 감지 기능’이 켜져 있어야 하죠?이번 마스크 페이스 ID 잠금 해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1) 애플워치에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어야 하고, 2) 애플워치가 사용자의 손목에 있고, 3) 아이폰 근처에 있어야 하며, 4) 애플워치의 잠금이 해제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 네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이번 기능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 두 번째 조건을 위해서는 애플워치의 ‘손목 감지 기능’이 켜져 있어야 하죠?안드로이드 스마트락과의 차이점이라면 언락된 아이폰을 다시 애플워치를 이용해 잠글 수 있다는 점입니다.

스마트 잠금의 경우 특정 블루투스 기기와 연결돼 있을 때 무조건 잠금이 해제돼 원격으로 재잠금이 불가능하지만 이번 기능은 애플워치에 표시되는 ‘락 아이폰’ 버튼을 누르면 즉시 아이폰이 다시 잠기고 페이스ID가 비활성화됩니다.

게다가 연결만 돼 있으면 잠금이 풀리는 스마트 잠금과 달리 이번 기능은 거리가 매우 가까워야 작동합니다.

간단하게 테스트를 해봤지만 애플워치가 아이폰 주변 3~4미터 안에 있어야 잠금 해제가 가능했습니다.

4m 이상 떨어져 있을 때는 ‘잠금 해제 중…’이라는 알림만 뜨고 잠금 해제가 되지 않습니다.

단, 이번 Face ID 잠금 해제 기능은 아이폰 자체 잠금만 해제 가능합니다.

키체인은 물론 카카오톡이나 은행 앱에서의 페이스ID 인증은 애플워치를 통한 생략이 불가능합니다.

마스크를 벗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아무래도 보안을 위한 조치인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마스크 페이스 ID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해서 말씀을 드렸습니다.

이런 기능들이 왜 이제야 나왔을까 싶기도 한데 원격 재잠금 기능이나 조금만 떨어져도 잠금 해제가 안 되는 등 보안을 위해서 나름대로 열심히 머리를 굴린 게 보이더라고요.다만 이번 펌웨어는 아직 베타 단계라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이 불안정합니다.

대표적으로 현대카드 앱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이번 기능만 보고 업데이트하기보다는 정식 펌웨어 출시까지 기다리거나 작동하지 않는 앱을 먼저 확인한 후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도 블로그를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방문해주신 분들 설 명절 잘 보내세요 >_<